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가 작곡한 노래는
320년이 흐른 지금도 세계 각국에서 연주된다.
이론가와 비평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탐구되어 그 가치는 견고해졌다.
내가 만든 안무는 그 가치를 누군가 발견하고 탐구하는 건 불가능하다.
안무는 무대 위에서 실현되는 순간 사라지기 때문이다.
바흐는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음악을 악보에 그대로 적기위해 노력했다.
음악 비평가 신예슬은 우리가 음악에서 들을 수 있지만 번역되어 지면에 결코 기록될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바흐의 인벤션(BWV 772-781)에서 두 성부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렇기 때문에 지휘자인 김주성과 함께 음악을 분석하고 이를 2인무의 시공간의 구조로 옮기는 과정을 거쳤다.
만약 이 안무를 기록할 수 있다면 이 기록은 바흐의 머릿속에 있는 음악을 그대로 적은 악보가 될 수 있을까.
동시에 움직임은 그 기록 안에서 영원할 수 있을까.
The song composed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is still played around the world 320 years later.
Continually explored by theorists and critics, its value has been solidified.
It is impossible for anyone to discover and explore the value of the choreography I made.
This is because the choreography disappears the moment it is realized on stage.
Bach tried to write the music in his head exactly as it was in the score.
Music critic Ye-seul Shin asserts that there are things we can hear in music but never be translated and recorded on paper.
What is an area that can never be written down?
I found two voic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Bach's Inventions (BWV 772-781).
This is an area not specifically marked on the score.
Therefore, I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usic with the conductor Joo-Sung Kim and transferring it to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of two people.
The choreography was completed by adding movement to this.
If this choreography can be recorded, can this record be a sheet music written in Bach's head as it is?
At the same time, can movement be eternal in the record?